코인센터
휴먼스케이프(HUM)의 전망을 알아보자 본문
1. 휴먼스케이프(HUM) 란??
휴먼스케이프는 유전성 혈관부종, 루레릭 등 희귀난치성 질환에 대한 치료제 개발 현황 및 최신 정보 등을 제공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플렛폼 "레어노트"를 운영 하고 있습니다.
운영 방식은 희귀질환 환자들이 자신의 건강정보를 제공하면 이 데이터를 안전하게 수집/저장하고, 이를 토대로 제약회사들과 협업을 진행, 치료제 개발에 도움을 주는 방식입니다.
또한 위변조가 불가능한 블록체인 기술이 접목되 환자들이 안심하고 자신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놓았습니다.
2. 휴먼스케이프(HUM)의 호재와 전망
휴먼스케이프는 최근 엄청난 호재가 있었습니다. 11월 23일 카카오가 휴먼스케이프의 지분 20%를 150억원에 인수 했다는 내용입니다.
이로서 휴먼스케이프의 최대주주는 카카오가 되었습니다.
여기서 주목할점은 카카오가 의료 빅데이터 사업에 관심이 많다는 점 입니다.
이는 카카오의 자회사은 카카오이베스트먼트는 이전 2018년에 서울아산병원, 현대중공업지주와 합작법인인 아산카카오메디컬데이터를 설립, 이어 2019년에는 연세대의로원과 파이디저털헬스케어를 설립했다는 것을 통해서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번 유먼스케이프에 대한 투자로 의료 빅테이터를 안전하게 모을수 있게 되었고, 이 것은 카카오가 휴먼스케이프에 대한 투자를 더욱 늘려갈 수있는 상황이 되었다고 생각이 됩니다.
3. 휴먼스케이프(HUM) 시세
휴먼스케이프는 카카오의 지분인수 이수 큰 슈팅을 주었던 상황에서 보호예수 해제 물량을 절반으로 줄인다는 이슈 이후 조정이 계속 될 것으로 보였었습니다.
하지만 물량이 나오는 날에 장악을 해버리면서 하락 저항을 하여 자리를 다시 만들고 있습니다.
물론 물량이 더 나오는 것을 계속 확인하면서 대응을 해야하고, 만약에 매수를 진행한다고 한다면, 확실하게 손절가를 잡고 매매를 하시는 것을 추천드리며,
현재 5일 선과 과 15일 선이 만나는 560원대가 단기 지지라인 이라고 생각이 되며, 지지가 무너진다고 하면 480원대 지지를 확인하셔야 된다고 생각 합니다.
지지가 무너진다면 물량이 풀린만큼 물량 소화과정의 시간이 필요하며, 소화과정이 끝난다면 든든한 백그라운드가 있으므로 개대만 큼의 큰수익을 챙겨 가실수 있다고 생각이 됩니다.
단기적으로 560원대, 이탈시에는 물량 소화과장이 필요하니 천천히 대응하시면 좋은 결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 됩니다.
4. Bitget 신규가입 이벤트
사우디 왕세자(서열 1위)가 투자하고, 국내 코스닥 상장사 SNK가 운영하는 비트겟(BITGET)이 신규가입(계좌개설) 이벤트를 진행중입니다.
- 평생 수수료 50% 할인
- 신규가입자 전원 70만원 지급
참여 방법및 참여는 하단 링크 참고 하시길 바랍니다.
- 이벤트 참여 (PC로 참여)
비트겟 | BITGET | Better trading Better life
BITGET | 글로벌 최대 디지털 자산 계약 거래 플랫폼|CMC CoinGecko 수록|카피 트레이드 기능으로 글로벌 엘리트 트에리더 모집|비트코인_이더리움 최신 시세|BTC_ETH_USDT등 암호화폐 빠른 포지션
www.bitget.com
- 이벤트 참여 (모바일 참여)
Rewards Center
{{$t('i18n.welfare_title_1')}} {{$t('i18n.welfare_title_2')}} {{$t('i18n.welfare_title_4')}} {{$t('i18n.welfare_title_5')}} {{$t('i18n.welfare_title_6')}}
m.bitget.com
5. 코인정보를 빠르게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싶다.
카톡방을 통해서 보다 빠르게 관련 정보를 무료로 드리고 있습니다. 아래 링크를 클릭하시면 입장 가능합니다.
코인센터. 카톡방 링크
코인센터의 코인 시황/정보 공유
#평생무료 #코인 #시황 #비트겟 #Bitget #카피트레이딩 #주식투자 #코인투자 #비트코인 #바이낸스
open.kakao.com
'가상화페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밀크(MLK)의 전망을 알아보자 (1) | 2021.12.06 |
---|---|
비트코인 대세 상승은 정말로 끝인가?? (1) | 2021.12.06 |
폴리곤(MATIC)의 전망을 알아보자 (3) | 2021.12.03 |
메디블록(MED)의 전망을 알아보자 (0) | 2021.12.02 |
메타디움(META)의 전망을 알아보자 (1) | 2021.12.02 |